2024년 3월 21일(미 동부시간)에 뉴욕증권거래소(NYSE)를 통해 상장하였으며, 주당 34달러를 시작으로 48.4% 급등한 50.44달러로 첫날을 마감하였습니다. 국내에는 다소 생소한 레딧(reddit)은 어떤 기업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딧(reddit)은 무엇인가?
레딧(Reddit)은 사용자들이 내용을 게시하고, 투표하며, 댓글을 달 수 있는 커뮤니티 기반의 소셜 뉴스 웹사이트입니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주제에 대해 토론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브레딧(subreddits)'이라고 불리는 특정 주제의 포럼을 만들 수 있습니다.
2005년 스티브 허프먼(Steve Huffman)과 알렉시스 오하니언(Alexis Ohanian)에 의해 설립된 레딧은 초기에는 테크 커뮤니티에서 주로 사용되었지만, 점차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사용자들은 뉴스, 과학, 영화, 비디오 게임, 음악, 책, 요리, 스포츠 등 거의 모든 주제에 대해 토론할 수 있게 오픈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레딧은 사용자 주도의 콘텐츠와 높은 참여도로 인해 다양한 사회적 운동, 정보 공유, 심지어는 개인과 기업에 대한 지원 또는 비판의 장으로도 활용되곤 합니다. 때때로 이 플랫폼은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하지만, 다양한 목소리와 정보가 공존하는 오픈된 공간으로 사용자들에게 인정받고 있습니다.
레딧(reddit)의 역사
2005년
- 스티브 허프먼(Steve Huffman)과 알렉시스 오하니언(Alexis Ohanian)이 버지니아 대학교에서 만난 후, Y Combinator의 초기 투자를 받아 레딧을 창립했습니다.
2006년
- 이 시기 레딧은 컨덴스트(Condé Nast)에 인수되었습니다. 그리고 인수된 후 서브레딧(subreddits)이 도입되어 사용자들이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특정 주제의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08년
- 레딧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가 되어 개발자 커뮤니티가 플랫폼 개발에 기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1년
- 레딧은 컨덴스트로부터 분리되어 독립하게 됩니다. 이 시기에 레딧은 자체적인 모바일 앱을 출시하며 사용자 경험을 개선했습니다.
2012년
- 오바마 대통령의 AMA(Ask Me Anything) 세션이 엄청난 인기를 끌었으며, 이는 레딧이 주류 미디어의 주목을 받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014년
- 레딧은 사용자 기반을 넓히고 다양한 컨텐츠를 소개하기 위해 다양한 서브레딧을 홍보하고 지원하는 노력을 강화했습니다.
2020년
-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전 세계적인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동안 레딧은 중요한 정보 공유 및 지원 커뮤니티로 자리 잡았습니다. 사용자들은 COVID-19에 관한 최신 정보, 자가 격리 팁, 건강 조언 등을 공유하게 됩니다.
- Black Lives Matter 운동: George Floyd의 사망 이후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Black Lives Matter 운동에 레딧 사용자들도 적극 참여했습니다. 다양한 서브레딧에서는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토론과 정보 공유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2021년
- GameStop 주식 사건: 2021년 초, 레딧의 한 서브레딧인 r/wallstreetbets가 주목받았습니다. 이 커뮤니티의 소규모 투자자들이 GameStop 주식을 집중적으로 매수하면서 주가를 폭등시켰고, 이는 전 세계적인 금융 관련 최대 이슈가 되었습니다.
- 레딧의 디자인 및 기능 개편: 레딧은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디자인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했습니다. 특히 모바일 앱과 웹사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2022년
- 지속적인 성장과 확장: 레딧은 지속적으로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고 다양한 주제의 서브레딧을 강화했습니다. 또한, 사용자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새로운 기능과 도구들을 도입했습니다.
- NFT와 메타버스: 레딧은 NFT(Non-Fungible Token)와 메타버스 분야에 관심을 보이며 관련 커뮤니티와 토론이 활발해졌습니다. 이는 레딧이 기술 트렌드에 발맞춰 나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2023년
- 사회적 및 정치적 이슈에 대한 활발한 참여: 레딧 커뮤니티는 여러 사회적, 정치적 이슈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교환하고 정보를 공유하는 중심에서 그 기능을 해왔습니다. 특히 선거, 환경 문제, 국제 관계 등에 대한 토론이 매우 활발해져 감에 따라 이슈를 주도해 나갈 수 있었습니다.
- 플랫폼의 지속적인 개선: 지난 수년간 사용자 경험의 개선과 커뮤니티 안전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었습니다. 레딧은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플랫폼의 정책과 기능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오고 있습니다.
서브레딧
서브레딧(subreddits)은 레딧(Reddit) 내에서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중심으로 형성된 작은 커뮤니티 단위입니다. 사용자들은 이러한 서브레딧을 통해 다양한 주제에 대해 정보를 공유하고, 토론하며, 상호작용해 오고 있으며, 각 서브레딧은 고유한 규칙, 관심사 및 커뮤니티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서브레딧의 기능과 구조
- 생성: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사에 맞는 서브레딧을 찾거나 새로운 서브레딧을 만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서브레딧을 만들 때는 주제, 이름, 설명, 규칙 등을 설정해야 합니다.
- 게시물: 사용자들은 각 서브레딧에 맞는 콘텐츠를 게시할 수 있습니다. 이는 텍스트, 이미지, 링크 또는 비디오일 수 있습니다.
- 토론: 게시물에는 댓글을 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의견을 교환하고 토론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 투표: 각 게시물과 댓글에는 업보트와 다운보트를 할 수 있어, 커뮤니티 내에서의 인기도나 가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모더레이션: 서브레딧에는 모더레이터가 있어, 커뮤니티 규칙을 유지하고 콘텐츠를 관리합니다. 모더레이터는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사용자를 차단하는 등의 권한을 가집니다.
서브레딧의 다양성
- 레딧에는 수만 개의 서브레딧이 존재하며, 이는 과학, 영화, 음악, 책, 요리, 스포츠, 개인 금융 등 거의 모든 주제를 포괄합니다.
- 일부 서브레딧은 매우 대중적이며 수백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반면, 일부는 매우 특정한 관심사나 취미를 중심으로 소규모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참여와 영향력
- 서브레딧은 사용자들이 동일한 관심사나 목표를 가진 다른 이들과 연결되는 장을 제공합니다.
- 사용자들은 서브레딧을 통해 정보를 얻고, 지식을 공유하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활발한 서브레딧은 때로는 더 큰 사회적 움직임이나 변화를 일으키는 데 기여하기도 합니다.
서브레딧은 레딧의 기본 구성단위로서, 사용자들이 자신의 관심사와 경험을 탐색하고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서브레딧의 존재는 레딧을 세계에서 가장 독특하고 다양한 커뮤니티 중 하나로 만들어 줍니다.
업보트와 다운보트
레딧의 업보트(Upvote)와 다운보트(Downvote) 시스템은 커뮤니티 주도형 콘텐츠 큐레이션의 핵심입니다. 사용자들은 게시물이나 댓글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때 업보트를,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때 다운보트를 할 수 있습니다.
업보트(Upvote)
- 업보트는 사용자가 게시물이나 댓글을 긍정적으로 평가할 때 사용합니다.
- 업보트를 받은 콘텐츠는 레딧의 알고리즘에 의해 더 높은 상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는 더 많은 사용자들이 해당 콘텐츠를 볼 수 있습니다.
- 높은 업보트 수는 콘텐츠가 커뮤니티에 가치가 있거나 인기가 있다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다운보트(Downvote)
- 다운보트는 사용자가 게시물이나 댓글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때 사용합니다.
- 다운보트를 받은 콘텐츠는 게시물 중 하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는 해당 콘텐츠가 덜 보이게 됨을 의미합니다.
- 다운보트는 주로 콘텐츠가 불쾌하거나, 주제와 관련 없거나,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역할과 중요성
이 두 가지 투표 방식은 사용자가 커뮤니티의 콘텐츠 품질을 직접적으로 관리하게 해 주며, 사용자들의 선호와 반응을 반영합니다.
이 시스템은 레딧이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돕고, 다양한 주제와 커뮤니티에서 건강한 토론과 정보 공유를 장려합니다.
레딧의 업보트와 다운보트 시스템은 사용자 참여를 촉진하고, 커뮤니티 내에서 콘텐츠의 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내고, 커뮤니티 내에서 어떤 콘텐츠가 더욱 중요하거나 관련성이 높은 지를 결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카르마
레딧의 카르마(Karma) 시스템은 사용자의 활동에 대한 커뮤니티의 반응을 수치적으로 표현합니다. 카르마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포스트 카르마(Post Karma)와 코멘트 카르마(Comment Karma)입니다.
포스트 카르마(Post Karma)
- 사용자가 게시한 포스트가 업보트를 받을 때마다 포스트 카르마가 증가합니다.
- 포스트가 다운보트를 받으면 카르마가 감소합니다.
- 이는 사용자가 공유하는 콘텐츠의 품질과 커뮤니티 내에서의 인기를 반영합니다.
코멘트 카르마(Comment Karma)
- 사용자의 댓글이 업보트를 받을 때마다 코멘트 카르마가 증가합니다.
- 반대로 다운보트를 받으면 카르마가 감소합니다.
- 이는 사용자가 참여하는 토론의 질과 기여도를 나타냅니다.
카르마의 역할과 중요성
- 카르마 점수는 사용자의 명성과 신뢰도를 대략적으로 나타냅니다. 높은 카르마 점수는 사용자가 커뮤니티에 유익한 기여를 많이 했음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일부 서브레딧에서는 특정 카르마 점수가 없으면 포스트나 코멘트 작성에 제한을 둘 수 있습니다. 이는 스팸이나 트롤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사용자는 자신의 카르마 점수를 통해 커뮤니티 내에서 자신의 활동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맺음말
레딧(Reddit)과 대한민국의 디시인사이드(DC Inside)는 각각 미국과 한국에서 인기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 플랫폼입니다. 두 플랫폼 모두 사용자 생성 콘텐츠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운영 방식과 배경에 차이점이 있습니다.
레딧은 '서브레딧(subreddits)'이라고 하는 다양한 주제의 커뮤니티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들은 관심 있는 주제의 서브레딧에 게시글을 올리거나 댓글을 달 수 있습니다. 반면, 디시인사이드는 '갤러리'라고 불리는 주제별 섹션으로 나뉘어 있으며, 각 갤러리는 자체적인 주제와 분위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디시인사이드 경우 갤러리의 주제와 무관한 게시물들이 올라오는 경우가 빈번한 반면 레딧은 서브레딧의 주제를 지키는 게시물들이 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는 주제와 무관한 글을 올릴 경우 삭제당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디시인사이드 경우 정치적으로 다소 보수주의 성향을 지난 커뮤니티라면, 레딧의 경우 디시인사이드와 반대되는 진보주의적인 정치 성향을 가지고 있는 커뮤니티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테이너 하우스 (콘테이너 하우스): 장단점 및 시공 사례 (0) | 2024.03.27 |
---|---|
RE100에 동참한 글로벌 기업들: 기업이 세상을 바꾸는 방법 (0) | 2024.03.18 |
RE100 참여가 가져오는 변화: RE100 뜻, 기업, 환경 및 미래 세대 (0) | 2024.03.17 |
시니어 일자리 : 필요성과 일자리 정보 찾는 손쉬운 방법 (0) | 2024.03.13 |
2024년 주택 시장 동향: 현명한 투자자는 주목합니다. (0) | 2024.03.09 |